GLORYHOLE LIGHT SALES is an artist and lighting brand in Seoul. Lighting work that she makes is aimed to be positioned somewhere between artist work and business product. She makes lighting work, using everyday life material, such as plastic film, in the handicraft way of glass processing of its own originality. She is interested in the autonomy of the artificial light and try to construct the frame as a glass medium, and makes a work of condition that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the light that can be seen and near placed in life of the person.
She keeps presenting questions on the ambiguity of the 'art-or-commerce' , ‘functionality-or-artistry’ identity given to lighting works studying how it could be possible to put two contrary type of value, functionality and artistic quality, compatible in its works. she presents the serial process via lighting works, photography, and drawings and keeps studying on the approach of objet d'art to actual everyday life.
글로리홀 GLORYHOLE LIGHT SALES는 조명 브랜드이자 동시에 빛에 관한 시각적 탐구를 풀어내는 미술가입니다. 미술과 유리를 공부했으며, 2015년부터‘글로리홀이 조명을 판다’라는 뜻인 전시를 시작으로 조명을 제작하고 판매하며 미술 작업과 비즈니스 제품 사이의 새로운 길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인공의 빛이 가지는 자율성에 관심이 있으며 사람의 삶에 있어 '가까이 두고 바라볼 수 있는 빛'이라는 조명의 특성을 작업의 조건으로 삼고 유리 매체로서 그 틀을 구축하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술-조명이 가지는 모호한 정체성에 대해 질문하면서, '예술과 상업', '기능성과 작품성'이라는 서로 다른 가치들이 작업에 어떻게 양립할 수 있는지 고민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들을 조명작업과 사진, 드로잉으로 풀어내고 있으며, 미술 오브제가 삶에 어떻게 다가가야 하는지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studio·gallery·shop : Gloryhole Light Sales
공방·화랑·상점 : 글로리홀 라이트 세일즈
2015. 11. 3. ~ 11. 11
INTRO
'Gloryhole' was created in Seoul in 2015 and is the name of a group that produces light-emitting devices-lighting. <Gloryhole Light Sales> is the first exhibition to show the lighting fixtures Gloryhole has been making. This exhibition is located in Sewoon Shopping Center, which is also a large-scale lighting arcade center, and is an exhibition that disguises the context of the'lighting showroom' they use. Her method is a way to bring out some of the old functions of the exhibition. That is, art exhibitions are both a short-term store and at the same time a place where the results of labor are seen, that is, a workshop.
The fact that she has to run her exhibitions as a store and sell her works is related to her belonging to an industrial organization, not an art organization, as a'company'. She worked on a production fee in the name of making a prototype. While remembering the meaning of pure artistic activity hidden in the word work and the ambivalent meaning of the production of means of economic activity.
It is a secret to the exhibition that her works are a kind of product, and that this is an exhibition to achieve his artistic activity is a secret to the industrial organizations that support her. But in order for her business/work to be sustainable, she has to ask questions in a state of urgency. How is the form of an exhibition and a store different, and if the essence of the work lies in the sale itself, is it possible to achieve artistic value through the act of sale? At the same time, this question is replaced by her like this. When the immaterial light she wanted to convey is materialized into a lamp and sold, is it possible to sell light (or light sales)?
It is the only fact that lies here that she'makes lights' amidst the questions that lie here. Maybe nothing else means anything.
'글로리홀'은 2015년 서울에서 만들어져, 발광하는 기구들-조명-을 제작하는 그룹의 이름이다. <글로리홀 라이트 세일즈>는 글로리홀이 여태껏 제작해 왔던 조명기구들을 보여주는 첫 번째 전시이다. 본 전시는 대규모 조명기기 유통상가이기도 한 세운상가 안에 위치해, 그들이 사용하는 '조명 전시장'이라는 맥락을 가져와 위장하는 전시이기도 하다. 그의 이러한 방식은 전시의 어쩐지 해묵어버린 기능을 꺼내놓는 방법이다. 그것은 바로 미술품 전시가 하나의 단기적 상점이기도하며 동시에 노동의 결과물이 보여지는 장소, 즉 공방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가 자신의 전시를 하나의 상점으로 운영하며 작업들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은 예술단체가 아닌 산업단체에 '사업체'로서 소속되어 있다는 것과 연관된다. 그는 시제품 제작이라는 명목으로 제작비를 받아 작업을 했다. 작업(work)이란 단어에 숨어있는 순수한 예술적 활동으로서의 의미와, 경제 활동 수단의 생산이라는 양가적 의미를 기억하면서.
그의 작업들이 일종의 제품이라는 것은 전시에게 비밀이며, 또한 이것이 그의 작가적 활동을 성취하기 위한 전시라는 것은 그를 지원하는 산업단체에게 비밀이다. 그러나 그의 사업/작업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절박함에 사로잡힌 상태로 질문해야만 하는 것이다. 전시와 상점의 형태는 어떻게 다른 것이며 또한 만약 작업의 본질이 판매라는 것 그 자체에 있다면 그것이 판매의 행위를 통해 예술적 가치를 성취하는 것이 가능한가. 동시에 이 질문은 그에게 이렇게 치환된다. 그가 전달하고자 한 비물질적인 빛이 램프로 물질화되어 판매될 때, 빛 판매(또는 빛 매출; Light sales)라는 것이 가능한가?
여기 놓인 의문들 속에서 그가 '조명을 제작한다'는 것은 여기에 놓인 유일한 사실이다. 어쩌 면 이 밖의 것은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기획자 노트
<공방·화랑·상점 : 글로리홀 라이트 세일즈>는 조명 제작 그룹 글로리홀이 지금까지 제작해 온 조명기구들을 공개하는 첫 자리로, 기획자 콜렉티브 개방회로는 프로젝트 기획에 함께했다.
우리는 주어진 하나의 공간을 공방·화랑·상점으로 명명함으로써, 하나의 대상이 산품(product)·예술품(artwork)·상품(commodity)으로 바뀌는 맥락을 탐구하고자 한다(혹은 그 반대가 될 수도 있겠다). 글로리홀의 작품은 공방에서 화랑에서, 그리고 상점에서 저마다 다르게 호명되고 유통될 것이다. 작품은 전통적으로 공방에서 제작되어, 화랑에서 전시된 후, 상점을 통해(혹은 상점으로서 화랑을 통해) 판매되어 왔다. 우리는 이와 같은 작품의 생애를 따라 점심엔 공방, 오후엔 화랑, 저녁엔 상점으로 공간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우리는 오늘날 스튜디오라는 공간에 대한 질문 역시 던지고자 한다. 포스트 스튜디오를 넘어 포스트 포스트 스튜디오라는 말이 회자하는 지금, 우리가 거의 무효화된 전통적인 구분을 굳이 따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한편, 작업·전시·진열 공간으로 사용될 ‘개방회로’는 세운상가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는 글로리홀의 작업을 통해 슬며시 1층의 여타 조명 상가로 위장하는 동시에, 상가 주변에 입점한 다른 전시공간과 을지로 인근에 자리한 스튜디오로 위장하려 한다. 하지만 위장과 은폐를 향한 이 시도들 중 무엇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해 우리가 숨기지 못한 것, 스스로 드러나는 무엇을 관찰하려 한다.
상품명. | Gloryhole Light Sales(2015) |
---|---|
Price. | KRW 1,000 |
Spec. | 자체제작 |
Size. | 자체브랜드 |
Material. | 기본트렌드 |
구매방법 | |
---|---|
배송주기 |
정기배송 할인 save
|
옵션선택 |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글로리홀(Gloryhole Light Sales)에선 택배를 통해 전국지역으로 3일 ~ 7일안에 배송비(KRW 3,000)를 포함해 배송하고있습니다.
※ 고객님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등이 멸실 또는 파손된 경우는 환불 및 교환이 어려우며, 받으신 작업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교환 및 반품이 7일 이내 가능합니다. 또한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